중국-차드 관계

덤프버전 : (♥ 0)

[ 펼치기 · 접기 ]

6자회담 당사국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
대한민국
파일:북한 국기.svg
북한
파일:미국 국기.svg
미국
파일:러시아 국기.svg
러시아
파일:일본 국기.svg
일본
아시아
파일:대만 국기.svg
대만
파일:홍콩 특별행정구기.svg
홍콩
파일:중국 원형.png
파일:마카오 특별행정구기.svg
마카오
파일:중국 원형.png
파일:티베트 국기.svg
티베트 망명 정부
파일:중국 원형.png
파일:내몽골 자치구 기.svg
내몽골
파일:중국 원형.png
파일:몽골 국기.svg
몽골
파일:베트남 국기.svg
베트남
파일:라오스 국기.svg
라오스
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
말레이시아
파일:인도네시아 국기.svg
인도네시아
파일:싱가포르 국기.svg
싱가포르
파일:미얀마 국기.svg
미얀마
파일:필리핀 국기.svg
필리핀
파일:캄보디아 국기.svg
캄보디아
파일:인도 국기.svg
인도
파일:파키스탄 국기.svg
파키스탄
파일:부탄 국기.svg
부탄
파일:스리랑카 국기.svg
스리랑카
파일:몰디브 국기.svg
몰디브
파일:네팔 국기.svg
네팔
파일:방글라데시 국기.svg
방글라데시
파일:아프가니스탄 국기.svg
아프가니스탄
파일:키르기스스탄 국기.svg
키르기스스탄
파일:카자흐스탄 국기.svg
카자흐스탄
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
우즈베키스탄
파일:동튀르키스탄 깃발.svg
위구르
파일:중국 원형.png
파일:타지키스탄 국기.svg
타지키스탄
파일:시리아 국기.svg
시리아
파일:이란 국기.svg
이란
파일:이라크 국기.svg
이라크
파일:팔레스타인 국기.svg
팔레스타인
파일:예멘 국기.svg
예멘
파일:바레인 국기.svg
바레인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아랍에미리트
파일:이스라엘 국기.svg
이스라엘
유럽
파일:벨라루스 국기.svg
벨라루스
파일:우크라이나 국기.svg
우크라이나
파일:아제르바이잔 국기.svg
아제르바이잔
파일:독일 국기.svg
독일
파일:스위스 국기.svg
스위스
파일:헝가리 국기.svg
헝가리
파일:영국 국기.svg
영국
파일:프랑스 국기.svg
프랑스
파일:벨기에 국기.svg
벨기에
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
이탈리아
파일:바티칸 국기.svg
바티칸
파일:스페인 국기.svg
스페인
파일:포르투갈 국기.svg
포르투갈
파일:세르비아 국기.svg
세르비아
파일:알바니아 국기.svg
알바니아
파일:터키 국기.svg
터키
파일:스웨덴 국기.svg
스웨덴
아메리카
파일:캐나다 국기.svg
캐나다
파일:멕시코 국기.svg
멕시코
파일:니카라과 국기.svg
니카라과
파일:과테말라 국기.svg
과테말라
파일:브라질 국기.svg
브라질
파일:파라과이 국기.svg
파라과이
파일:베네수엘라 국기.svg
베네수엘라
파일:가이아나 국기.svg
가이아나
파일:페루 국기.svg
페루
파일:칠레 국기.svg
칠레
아프리카
파일:에티오피아 국기.svg
에티오피아
파일:탄자니아 국기.svg
탄자니아
파일:에스와티니 국기.svg
에스와티니
파일:세네갈 국기.svg
세네갈
파일:모잠비크 국기.svg
모잠비크
파일:앙골라 국기.svg
앙골라
파일:기니 국기.svg
기니
파일:이집트 국기.svg
이집트
파일:짐바브웨 국기.svg
짐바브웨
파일: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.svg
중앙아프리카공화국
파일:카메룬 국기.svg
카메룬
파일:적도 기니 국기.svg
적도 기니
파일:케냐 국기.svg
케냐
파일:니제르 국기.svg
니제르
파일:말리 국기.svg
말리
파일:리비아 국기.svg
리비아
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
나이지리아
파일:수단 공화국 국기.svg
수단 공화국
파일:콩고민주공화국 국기.svg
콩고민주공화국
파일:차드 국기.svg
차드
파일:마다가스카르 국기.svg
마다가스카르
파일:알제리 국기.svg
알제리
파일:아프리카 연합 기.png
아프리카
오세아니아
파일:호주 국기.svg
호주
파일:뉴질랜드 국기.svg
뉴질랜드
파일:파푸아뉴기니 국기.svg
파푸아뉴기니
파일:솔로몬 제도 국기.svg
솔로몬 제도
파일:팔라우 국기.svg
팔라우
파일:키리바시 국기.svg
키리바시
파일:나우루 국기.svg
나우루
파일:투발루 국기.svg
투발루
파일:사모아 국기.svg
사모아
다자관계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[[파일:중국 국기.svg파일:북한 국기.svg [[파일:중국 국기.svg파일:중국-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.png [[파일:러시아 국기.svg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[[파일:미국 국기.svg파일:미국 국기.svg [[파일:중국 국기.svg
파일:러시아 국기.svg [[파일:인도 국기.svg파일:러시아 국기.svg [[파일:몽골 국기.svg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[[파일:중국 국기.svg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[[파일:북한 국기.svg파일:중국-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.png [[파일:내몽골 자치구 기.svg
과거의 대외관계
가야-후한 관계백제-수나라 관계나당관계여요관계고려-금나라 관계
조명관계중소관계
송나라 · 청나라






1. 개요
2. 역사적 관계
2.1. 21세기
3. 관련 문서



1. 개요[편집]


중국차드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. 차드는 2006년까지 대만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지만, 2006년에 중국과 수교했다.


2. 역사적 관계[편집]



2.1. 21세기[편집]


차드는 중국과 잠시 외교관계를 맺었지만, 이후에 대만과 외교관계를 맺었다. 차드측은 2006년까지 대만과 수교관계를 유지했다. 하지만 2006년에 중국과 재수교하면서 대만과는 단교했다.# 그리고 차드가 산유국이기 때문에 중국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미국 기업들을 쫓아내기도 했다.# 그리고 중국 기업들이 차드에서 원유를 찾기 위해 많이 진출했다.#

양국간의 경제적인 교류, 협력이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늘어났다. 중국 기업들이 차드에 많이 진출했고 그와 동시에 차드에서 중국과 관련된 문제가 많이 생겨났다. 이에 따라 양국간에도 갈등이 늘어났다. 2013년에 차드측은 은자메나 남쪽 200㎞ 지점에 있는 쿠달와 유전의 탐사 상황을 조사한 결과 중국 기업 페트로차이나가 규정된 환경보호 시설을 갖추지 않고 있음을 적발했다고 밝혔다.# 2014년에 차드측은 중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소송을 진행했다.#

2018년 11월 28일에 재판에 참석한 이드리스 데비 전 대통령과 관련해서 중국 기업의 채굴권 확보를 위해 CEFC 홍콩 사무총장 패트릭 호가 건넨 선물 상자 안에 200만 달러(약 22억5000만원)의 현금이 들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해명을 요구했다.#


3. 관련 문서[편집]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7 15:48:08에 나무위키 중국-차드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